vol.86-[Main Story] 20주년 기념 ‘푸른아시아의 밤’ 행사 이모저모
20년 함께 이 길을 걸어왔습니다. 함께 해서 외롭지 않았습니다
푸른아시아가 지난 1월18일 20주년 기념 ‘푸른아시아의 밤’ 행사를 가졌다. 매년 1월 셋째주 목요일 후원의 밤 행사를 개최해 왔는데 올해는 ‘푸른아시아의 밤’이란 타이틀로 20주년을 기념하는 자리를 만들었다.
푸른아시아를 설립한 날이 1998년 1월 17일이었는데 묘하게도 2018년 1월18일이 셋째주 목요일이라 설립 다음날 기념식을 갖게 된 셈이었다.
푸른아시아는 1998년 당시 (사)한국휴먼네트워크란 이름으로 설립하여 2000년 몽골 사막화방지를 위한 조림사업을 시작한 것이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2002년 (사)시민정보미디어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기도 했으며 2004년 대한항공 신입사원 해외연수 및 바가노르에 ‘행복의 숲’ 조림사업을 시작했다.
2006년 지구환경기금(GEF) 공인 NGO로 등록했으며 대한민국 국회의원 및 몽골 자연환경관광부와 ‘사막화방지사업을 위한 교류’협약을 맺었다.
2008년 (사)푸른아시아로 법인 명칭을 변경했으며 외교통상부에 사단법인 및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을 하였다.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지원으로 ‘지구온난화 가이드북’을 발간했으며 2010년 5월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공인 NGO로 등록했으며 7월엔 유엔경제사회이사회(UNECOSOC) 특별 협의단체로 등록했다. 2011년엔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공인 NGO로 등록하고 국제 NGO로서 활동을 본격화 했다. 2014년엔 몽골에서 조림사업을 통한 주민자립모델로 UNCCD ‘생명의 토지상’ 최우수상을, 2015년 대한민국 녹색기후상 대상을 수상했다.
지난 18년간 몽골에선 475ha에 53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으며 미얀마에서도 3년새 240ha에 15만 그루의 나무를 심으며 주민들의 일자리를 제공했다.
이날 행사는 설립 당시 함께 했던 분들과 10년 이상 지속적인 후원을 해 오신 분, 그리고 중간에 만났지만 특별한 인연을 이어오신 분 등 그야말로 20년 역사를 함께 한 분들을 초청해 모신 자리였다.
인사말을 하신 손봉호 이사장님도 20년 감회가 깊은 듯 지난 날들을 회상하기도 했다. 손 이사장님은 17년전 오기출 사무총장이 찾아와 몽골에서 황사가 날아오는 것이 심각하니 함께 이 문제를 해결해보자며 이사장직을 맡아달라고 했다고 회상했다. 손 이사장님은 “푸른아시아는 그 당시 이미 미세먼지, 황사의 심각성을 지적해왔다”고 일찍이 기후변화에 대해 관심을 가진 것을 상기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하신 분들은 들어오면서 각자가 꿈꾸는 세상에 대한 이야기를 메모해 게시판에 붙였는데 모두가 하나같이 미세먼지 없는 세상을 꿈꾸고 있었다.
‘미세먼지 흡수하는 숲이 울창한 세상’ ‘미세먼지, 황사없는 세상에서 살고 싶어요’ ‘미세먼지 없는 맑은 하늘인 세상’ 등등이 이어졌으며 또 기후변화와 관련된 메시지도 많았다. ‘인권이 보장되고 기후재난과 불평등 없는 세상’ ‘세상 사람 모두 다 푸르름 속에서 살 수 있는 세상이 되었으면’ ‘기후정의가 실현된 사회’ ‘자연과 더불어 사는 삶’ ‘자유롭고 평화롭고 평등한, 생태 기반 사회!’ 등 모든 계층이 기후변화 피해로부터 벗어나길 희망하는 메시지가 주를 이루었다.
다음으로 올해 몽골에 파견되는 파견단원들의 소개시간이 있었는데 젊은 청년들의 아이디어를 담은 신선한 소개로 큰 박수를 받았다. 올해 파견단원들은 모두 대학을 졸업한 청년들로서 구성되었는데 박정현, 박지혜, 송지훈, 양효선, 이나리 단원들이 그 주인공들이다. 이들은 올 한해 돈드고비 등 조림사업장에서 주민직원들과 함께 조림장 관리를 하게 된다. 청년시절 1년 동안 봉사의 시간을 갖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지구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착한 의지를 가진 이들에게 큰 박수를 보내고 싶다.
이어서 푸른아시아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학생기자단 수료식과 우수 기자 시상식을 가졌다. 지난 한해 푸른아시아 대학생기자단은 김예지, 박수현, 박윤주, 이누림, 이지현, 장윤영, 정명진, 정유진, 정해미, 한건우 총 11명이 수료를 했는데 이들 중 정유진 양이 최우수상을, 이누림 군과 정명진 양이 우수상을 받았다.
올해도 참석하신 후원자님들을 위한 선물을 준비했는데 이칠용 한국공예예술가협회 회장님이 옻칠자개보석함 한 개를, 애니메이션 영화 및 비디오 제작업체 ㈜홍당무에서 가족뮤지컬 <매직 어드벤처> 입장권 2장을, 중국 서예가의 글씨 작품 한 개, 신발건조기 다섯 개를 ‘내가 꿈꾸는 세상’ 공감 메시지를 보내주신 분들에게 드렸다. 그리고 푸른아시아 홍보위원인 한승국 생태사진작가가 직접 찍은 야생화들로 꾸민 달력을 참석하신 분들 전원에게 드렸다.
이어 2부 축하콘서트는 크로이츠 앙상블이 꾸며주었다. 피아니스트 강수연, 바이올리니스트 김유지, 첼리스트 김상호, 그리고 바리톤 김태선이 꾸미는 무대는 유쾌하고 재미있는 노래와 연주로 큰 호응을 받았다.
이날 참석해주신 분들은 다음과 같다.
AZZAYA, BINDERIYA, Byambaa, CARLOS DE BERNARDO, MYADAGAA, Nasaa, 강현, 구성찬, 김경애, 김동흔, 김병주, 김석동, 김성신, 김신아, 김영래, 김예지, 김용범, 김운용, 김은하, 김이곤,김재승, 김정지현, 김종천, 김지용, 김진한, 김한나, 김현아, 김현정, 김화준, 다시카, 먀닥마, 문승관, 문일석, 문채원, 미키, 박성복, 박수현, 박윤주, 박현수, 박현숙, 박홍순, 백주환, 서현, 신대현, 안성영, 예수, 오성찬, 오윤자야, 왕보현, 우보영, 원기준, 원치만, 유병국, 유영주, 윤모린, 윤성욱, 윤예진, 이기백, 이기택, 이누림, 이동광, 이동섭, 이래곤, 이명구, 이민수, 이복자, 이봉석, 이신철, 이양희, 이종오, 이종철, 이지현, 이지훈, 이창곤, 임근영, 임동한, 임태신, 장금희, 장성인, 장원택, 전미영, 절버, 정명진, 정유진, 정해미, 정혜인, 정희정, 조창현, 주선영, 차래동, 차선호, 천권환, 최용선, 최종혁, 최혜자, 한건우, 한성희, 홍승영, 홍예지, 홍훈기, 황용모 (이상 가나다 순) |
푸른아시아 20년 발자취
1998년 | (사)한국휴먼네트워크 설립(1월17일) |
1999년 | ‘한·일 공동세미나’ 개최 |
2000년 |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정보통신부) |
공익성 기부금단체 등록(재정경제부) | |
몽골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사업 시작(울란바토르 어린이복지시설에 5,000그루 식재) | |
2001년 | 몽골 자연환경관광부와 ‘사막화 방지를 위한 한·일·몽 NGO 연대사업’ 협약 |
2002년 | (사)시민정보미디어센터로 명칭 변경 |
몽골 바가노르구와 ‘장기식림사업 협정’ 체결 | |
2004년 | 대한항공 신입사원 해외연수 및 BG ‘행복의 숲’ 조림사업 협력 |
2006년 | GEF(지구환경기금) 공인 NGO 등록(10월) |
대한민국 국회의원 및 몽골 자연환경관광부와 ‘사막화방지사업을 위한 교류’ 협약 | |
몽골 울란바타르시 바가노르구와 ‘한·몽 평화의 숲’ 조성 협약 | |
2007년 | 몽골지부 설립(울란바타르시 정부 3청사 소재)(1월) |
몽골지부 NGO 법인 등록(3월) | |
2008년 | (사)푸른아시아로 법인 명칭 변경 |
사단법인 및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외교통상부 등록번호 제587호/ 제85호) | |
대한민국 대통령 표창(6월 5일) | |
몽골 자연환경관광부 자연환경보호지도자상 수상(5월 7일) | |
2009년 | 몽골 자연환경관광부와 ‘몽골 사막화·황사방지’ 협약 |
고양시와 몽골 만달고비솜 ‘고양의 숲’ 협약(10년 사업) | |
몽골 바가노르구와 ‘도시형 몽골 사막화·황사방지’ 협약 | |
2010년 | UNFCCC(유엔기후변화협약) 공인 NGO 등록(5월) |
UNECOSOC(유엔경제사회이사회) 특별 협의단체 등록(7월) | |
2011년 | UNCCD(유엔사막화방지협약) 공인 NGO 등록(10월) |
경상남도, 몽골 볼간아이막과 사막화 및 황사 방지를 위한 삼자 협약(5년) | |
수원시, 몽골 자연환경관광부와 사막화 및 황사 방지를 위한 삼자 협약(10년) | |
바가노르구와 ‘2011년 도시형모델 사막화 방지 조성사업을 위한 실행’ 협약 | |
2013년 | 미얀마 지부 설립(7월) 및 국제NGO 법인 등록 요청(8월 5일) |
2014년 | UNCCD 생명의 토지상 최우수상 선정(6월 17일) |
미얀마 지부 국제NGO 법인 등록증 교부 | |
푸른아시아 전략리포트 발간_영문(8월 23일) | |
기후변화대응 아시아 시민사회 컨퍼런스 한국조직위원회 조직위원장(11월 4일) | |
2015년 | 대한민국 녹색기후상 대상 수상(2월 26일_국회기후변화포럼) |
GCF(녹색기후기금) 공인 NGO 등록(6월 25일) | |
서울시의회, 몽골 환경녹색개발관광부 : 사막화, 황사 방지 사업 협약(10월 9일 박래군 의장, 바트체렉 장관) | |
아시아기후변화대응시민사회컨퍼런스(ACCE) 한국조직위원회 조직위원장 : 4/25~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