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몽골] 그럴 수도 있지 ? 김찬미 단원
“그럴 수도 있지.” 몽골로 파견을 오기 전 받았던 국내 교육에서, 공정희 팀장님이 몽골 생활 내내 새기고 지내라며 해주셨던 말씀이다. 때로는 답답하고, 한국에서 살아 온 우리의 생각으로는 이해가 안 되고, 불편한 일이 생기더라도 이곳은 몽골이니까. 몽골에서는 그럴 수도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넘기라고. 처음 몽골에 발을 디딜 때부터 이 말을 마음에 새기고 입에 달고 살아왔다. 그리고 지금에서야 그 말의 뜻을 온전히 받아들이게 된 것 같다.
푸른아시아 단원을 처음 지원했을 때부터 생각했던건 ‘힘들자’였다. 한 번 고생해보고, 힘들어보고, 굴러보자. 그래서 대체 개발이란 뭔지, 현장이란 뭔지 그 민낯을 한 번이라도, 조금이라도 들춰내보자. 물론 그러기에는 푸른아시아 여러 단원들 중에서 가장 생활 환경이 좋다고 할 수 있는 돈드고비로 파견되게 되어 약간의 아쉬움(?)이 있기도 하다만, 어쨌든 지금까지도 내 머릿속을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 생각 중 하나이다. 나는 이곳에 힘들기 위해서 온 것이니까 힘든 것이 당연하다고. 그렇기에 힘들다고 찡찡대지 말고, 투정부리지 말고 겸허히 그 자체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물론 가끔씩 소위 말하는 멘탈이 터지는 날도 있었고, 여러모로 답답해서 눈물이 나는 날도 있었지만. 그래도 지금까지 힘들게, 하지만 잘 지내오고 있는 중이다.
물론 매일매일의 일상이 평화롭기만 한 것은 아니다. 난생 처음 해보는 조림업무는 여전히 서툴다. 양동이 관수를 하다보면 장갑을 끼고 있는데도 금세 손바닥이 부르트고, 물을 흘려 바지가 젖어버리기 일쑤다. 주민들과의 소통도 원활하지는 않다. 절반이라도 알아들으면 감사할 지경이다. 무슨 말인지 몰라 ‘미뜩꾸’라고 웃으면서 넘겨버리는 일이 부지기수인데, 그래도 요즘은 눈치가 많이 늘어서 무슨 단어인지 모르는데도 어떻게든 소통을 하고 있다. 일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도 사건 사고는 끊이지 않는다. 잦은 정전과 단수가 일어날 뿐만 아니라, 샤워를 하다보면 온수기를 꽂은 콘센트가 녹아 온 방에 탄내가 진동하기도 하고, 설거지를 하다가 싱크대 밑 양동이의 물을 확인하는 것을 깜박해 물이 넘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으로 감사한 것은 이런 모든 일상에 익숙해졌다는 것. 처음에는 의식적으로 ‘그럴 수도 있지’하고 넘기던 것들이 이제는 정말 자연스럽게 그러려니 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가운데 감사함을 찾게 되었다. 감사함 역시도 처음에는 나도 모르게 자기방어적으로, 어떻게든 감사한 점을 찾지 않으면 멘탈이 못 버틸 것 같아서 찾았던 거였다면, 이제는 정말 감사하게 되었다. 당신들이 더 힘들텐데도 매번 ‘야다르치 배노?(힘드니?)’ 물어봐주시고 나를 걱정해주시는 주민직원분들과 함께 하고 있음에 감사하고, 말을 못 알아 들어 답답하실 텐데도 짜증 한 번 내지 않고 나를 위해 더욱 천천히 말해주시는 경비원 아저씨들이 계심에 감사하고, 집에서 단수가 되어도 샴푸를 하던 중이 아니었던 것에 감사하고, 정전이 되어도 전기장판을 틀지 않으면 얼어죽을것만 같은 날씨가 아닌 것에 감사하고. 생각을 하면 할수록 감사한 점들이 많다는 것에 또 다시 감사하게 된다.
몽골에 파견된 지 어느덧 두 달이 지났고, 내가 있는 이 곳 돈드고비에 파견된 지도 어느덧 한 달 반이 지났다. 지난 두 달의 시간동안, 그간 22년을 살면서 한 번도 느껴보지 못했던 여러 가지 것들을 느껴왔고, 느끼고 있다. 이는 한국을 벗어나 여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살아보는 것은 처음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봉사단원으로 생활하는 것이 처음이기도 하고, 몽골 생활을 하는 것이 처음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러나저러나, 나는 잘 지내고 있다. 앞서도 계속해서 말해왔듯 잘 지내고자 노력하고 있고, 그 결과 잘 지내고 있다. 그리고 처음 이 곳에 왔던 목적대로, 개발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계속 생각해보고 있다. 여전히 답을 내리기는 힘들지만, 여전히 더욱 생각해야할 거리들이 많이 있지만, 계속해서 현장 속에서 인사이트를 찾고 답을 찾으면서 그 민낯에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는 느낌이다.
이제 겨우 2개월, 그리고 앞으로 남은 9개월의 시간. 그 시간들 동안 지금보다 더욱 수많은 일들을 겪을 것이다. 더 힘들어지면 힘들어지지 덜하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내게는 ‘그럴수도 있지’와 ‘감사’라는 두 가지 무기가 있기에 겁이 나거나 걱정에 잠식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기대가 된다. 이 9개월이 지난 후에, 이 시간들을 이겨내고 난 후의 내 모습이. 처음 이 곳에 오면서 바랐던 것처럼, 그 민낯을 조금이라도 들춰보고 한 발짝이라도 더 나아가 있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