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몽골] 2주동안 느꼈던 몽골 ? 이동엽 단원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4

2017년 3월15일 첫 삽을 뜰 수 있는 기회가 떨어졌다. 나는 한국에서 기본적인 준비를 마치고 몽골에 도착했다. 우리가 나누었던 희망 그리고 우리가 나누었던 열정이 시작 될 기분에 너무 행복하다. 한편으론 긴장도 된다. 하지만 걱정이 없다. 나는 20대고, 열정적인 한국의 젊은이다. 나는 차가운 바람을 헤치고 공항에서 내려서 우리가 한 달 동안 머무를 수 있는 숙소에 도착했다. 아직 가시지 않은 소련의 향기, 그 거친 기운에 나는 한 줄기 무지개가 되려고 생각했다. 몽골의 수도는 생각 이상으로 깔끔했고, 단원들이 생활하기에 매우 적합한 곳이었다.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2
푸른아시아 단원들은 현지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사고, 현지 식당에서 식사하며 몽골을 적응하기 위해 매우 노력했다. 힘들어 하지 않고 오히려 즐기는 듯 하였다. 한 마음, 한 뜻으로 모인 9명이었기에 얼음을 가르는 쇄빙선처럼 헤쳐나가며 몽골을 차차 알아나가기 시작했다.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5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6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7

첫 조림지 방문일정이 있는 날, 우리는 한껏 기대했다. 몽골에 도착하고 나서 처음으로 시외에 나가보는 날이었다. 첫 조림지 방문이다 보니, 숙소에서 매우 상쾌하게 아침을 맞이했다. 우리는 집결 장소에 모여 승합차를 타고 바가노르 조림지로 향했다. 시외의 공기는 사뭇 달랐다. 하늘은 매우 맑고 공기는 신선했다. 하지만 풀이 없이 펼쳐져 있는 산 들과 땅을 보며, 아시아는 기후변화에서 불안전한 위기에 봉착했다는 사실을 한 뼘 더 인지했다. 원래는 울창한 숲이었다는 현지인 팀장의 설명에 놀랐다. 여기서 태어나고 자란 아이들은 점점 없어져 가는 풀들을 보며 안타까움을 느낄 것 같았다. 게다가 바가노르 지역엔 풍부한 매장량을 자랑하는 석탄 광산이 있는데, 해외 자본이 참여하여 개발하였으나 채굴 후 수습을 하지 못하여 마을에 석탄가루가 날리기 일쑤였다. 자본과 고갈 되어가는 에너지를 끌어 챙기기에 급급하여 이 상황이 지속된다면 자연과 사람은 조화를 이룰 수 없고 인류는 결국 기후변화의 위기를 맞이해 지속 가능한 삶을 살 수 없다는 생각을 하였다. 환경이 무너지면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와 식량은 귀해지며 재화의 가격이 올라가고 국민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푸른아시아는 미리 자각하여 환경위기 지역을 지속 가능할 수 있게 개발하여 주민 자립을 돕는다. 더 불어 주민들은 매우 감사해 하며 우리의 핵심가치를 존중해 준다. 인류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는 많으나, 함께 실현할 인력이 부족해 우리가 부단히 노력하여 위기를 전파해야 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지속 가능한 개발목표를 실행하기 위한 우리의 열정이 앞으로도 대를 이어 계속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8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9 03월_단원에세이_이동엽_사진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