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76-[대학생 기자단-장윤영] 봄철 미세먼지 주요 원인은?

길었던 겨울이 마침내 지나가고, 따듯한 햇살과 함께 봄이 다가오고 있다. 하지만 올해도 어김없이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특히 올해는 더욱 심해진 느낌이다.
이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흔히들 말하는 ‘중국발’인가? 우리는 피해자 신분뿐인 걸까? 봄철 미세먼지 현상에 대해 우리에게는 아무 책임이 없는 것일까?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미세먼지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1

 

미세먼지는 먼지의 종류로 입자의 크기에 따라 나눠진다. 먼지의 크기가 머리카락 지름보다 1/5~1/7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미세먼지(PM-10), 1/20~1/30에 불과할 정도의 매우 작은 크기라면 초미세먼지(PM-2.5)라고 지정한다. (최근 환경부는 미세먼지는 부유먼지,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로 용어 정의를 바꾸었다.)

2

위 그림은 검은 원형이 사람 머리카락의 단면이라고 하고 그 크기를 기준으로 했을 때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크기를 이해하기 쉽게 위해 비교한 것이다. 위 그림을 보면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얼마나 작은지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미세먼지는 주로 구리, 카드뮴, 납 등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WHO 지정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을 정도로 인체에 굉장히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원인으로는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중국발’이다. 그 외 우리나라 발전소, 공장의 배출가스, 낙후된 자동차의 배기가스도 중요 원인들이다.
국내발전소, 공장의 배출가스는 우리나라 미세먼지오염원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우리나라 전력생산에서의 화력발전 비중은 전체 60%를 넘을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화력발전은 다른 수력, 풍력, 원자력발전에 비해 건설비용이 저렴하며, 건설기간 역시 짧으며, 입지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대도시 근처에 세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력발전에 대한 의존도가 이렇게 높은데, 그 원인은 바로 뛰어난 가성비다. 그러나 대기오염의 핵심은 바로 화력발전소의 석탄원료 사용에 있다. 석탄은 탄소배출량이 가장 높은 자원이다.

3

위 왼쪽 그래픽은 우리나라에 위치한 화력발전소의 분포도이다. 오른쪽 그래픽은 우리나라 대기오염물질 다량배출 사업장 분포도이다. 이와 같은 수많은 국내의 공장과 화력발전소들은 공해와 대기오염을 야기하고 다량의 미세먼지를 발생시킨다.

두 번째 원인은 바로 자동차배기가스이다. 수도권에서 운행되는 차량들, 특히 노후화된 자동차, 디젤엔진의 배기가스배출 등이 주요 원인이다.

4

하지만 자동차 운행이 국내 미세먼지 발생에 엄청난 비중을 차지한다고 단적으로 말할 수 없는 것이 자동차의 미세먼지 기여도에 대한 연구 조사 결과가 다음과 각각 같이 다르기 때문이다.
여기서 중점적으로 보아야 할 부분은 다음 3가지다. *제한된 면적에서의 밀집된 자동차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농도의 증가 *노후화된 시설의 자동차가 내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타이어 마모에 의해 배출되는 미세먼지량. 이 세가지가 자동차 미세먼지의 핵심이며, 자동차와 관련 미세먼지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사실이다.

세 번째 원인은 바로 중국에서 날아오는 미세먼지다. 중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60%은 석탄, 석유 사용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국 미세먼지의 주요 오염원 역시 바로 이 석탄 사용에 있다. 중국은 석탄소비량 세계 1위다. 앞서 언급한 석탄, 석유를 사용하는 공장지구, 화력발전소 등이 첫 번째 이유인데, 겨울에 동북3성지역의 난방설비 역시 석탄을 사용하여 겨울철 미세먼지농도 지수를 한층 더 높이는 요인이다. 또한 당국의 관리규제의 부실과 오염정화장치의 부족, 갈탄 사용 등 역시 중국 미세먼지 발생의 큰 요인이다. 우리나라와 확연히 다른 것은 바로 이 갈탄 사용에 있다.

5

갈탄은 석탄 중에 질량이 가장 저급한 탄으로, 석탄과 동효율대비 탄소배출량이 훨씬 많은 자원이다. 갈탄 사용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과정은 세척이다. 하지만 중국의 공장들은 석탄, 그리고 이 갈탄을 세척과정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고 민간차원에서도 난방시설에 저렴한 값의 갈탄을 주로 이용한다. 따라서 중국의 미세먼지 오염원에 있어서 갈탄 사용은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6

다음으로는 이러한 중국의 미세먼지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중국은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석탄 사용량이 급증하였기 때문에 관련 정화시설이나 환경보호대책 등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중국에서 우리나라로 불어오는 서풍, 북서풍을 탄 모래바람이 중국 동북부지역의 공장지대, 대도시지역, 혹은 서해공업지역을 지나면서 오염물질과 결합한다. 이는 남서풍을 타 북한, 만주지역 쪽으로 빠지거나 그대로 우리나라로 날아와 영향을 주게 된다. 이때 기상적으로 공기흐름이 정체되는 기류가 생성된다면 한동안 대한민국 대기를 모두 덮는 중국발 초미세먼지, 미세먼지현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봄철 미세먼지현상이 모두 중국에서 날아와 형성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도 내부 요인을 무시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내부 환경을 개선할 미세먼지개선 대책이나 방침을 내놓아야 할 때다.
장윤영 푸른아시아 대학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