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67-[대학생 기자단] 6월 환경기사
이번달부터 푸른아시아 대학생기자단의 기사를 선보입니다. 삶의 현장에서, 생활 속에서, 보고 느낀 것을 생생하게 기사로 전달해 줄 것입니다. 이번 달 기사를 선보이는 기자는 김수산, 곽미선, 유주상, 강민선, 권지민, 정겨운 기자입니다. 앞으로 많은 애독 부탁드립니다.
1. 물놀이장의 물은 얼마나 깨끗할까?
본격적인 물놀이시즌이다. 여름방학을 맞아 가족들과 또는 친구들과 물놀이 가시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시원한 물가에서 물장구도 치고 삼삼오오 모여 수박을 먹기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계획에 다들 부푼 마음을 안고 떠나겠지만 가족들을 위한다면 최소한 자신들이 가고자 하는 물놀이장의 물은 얼마나 깨끗한지 알아보고 깨끗한 정도가 선택의 기준이 되었으면 한다. 서울시청앞 서울광장의 분수대 물이 솟구쳐오르면 아이들은 너도나도 할 것없이 뛰어들어 온 몸을 적시는 걸 자자 볼 수 있다. 그때마다 과연 저 물이 저렇게 온 몸으로 뒤집어써도 괜찮을까 생각이 들지 않는가? 그렇다면 어떤 곳을 어떻게 준비해 가야 안전한 물놀이를 할 수 있을까?
– 환경기준을 알아봐라!
사람들이 바다나 강으로 많이 몰리는 시기인 만큼 물의 위생상태가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유명한 해수욕장이나 계곡에 한에서는 환경안전관리기준이라는 평가를 실시한다. 수질에 관해서는 대장균과 장구균 등의 기준치를 파악하고 백사장에서는 중금속 등 유해물질에 관련된 기준을 파악한다. 그리고 각각의 수치들이 기준치 내로 들어설 경우 그것을 환경기준에 ‘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리게 된다. 이렇게 ‘적합’ 판정을 받은 물놀이 장소는 위생적으로 ‘안전’한 범위에 들어가게 되니 안심하고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계곡의 경우, 특히 사설 물놀이장의 경우는 위생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니 무조건 물놀이 후 깨끗한 물로 씻기는 게 중요하다. 아이들이 눈병에 걸리지 않도록 미리 ‘안전’을 챙기는 것이 좋다.
– 물놀이 용품은 미리 구입하는 게 바람직
시중에서 물놀이 용품을 구입할 땐 반드시 ‘검’ 자 표시나 품질검증을 받은 것인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물놀이 용품은 보통 고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다. 겉으로는 안전해 보일 수 있으나 ‘가소재’라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가소재란 프탈레이트라는 물질인데 이는 환경호르몬의 일종으로 우리 몸의 내분비계를 교란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아동용 수영복이나 어린이 물놀이 용품에서 프탈레이트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을 구매할 때는 재질 및 성분표시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좋다, 보통 물놀이 용품은 여행을 가기 직전이나 여행지에서 갔을 때 즉석에서 구입하자마자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보다는 미리 구입 후 일정시간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생활 속에서 환경기준과 안전을 생각하고 챙기는 것이 ‘환경인’들의 기본 생활 아니겠는가? 이번 여름 물놀이장 가기 전 그곳의 수질검사는 어떻게 하는지 전화로 한번 물어보는 건 어떤가? 그것이 바로 현명한 소비자의 자세라고 생각한다.
글 : 김수산 대학생 기자
2. 사람이 1년에 300개의 종이컵을 버린다면…
거리를 지나다보면 곳곳에 커피숍이 눈에 띄듯이 커피를 마시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대부분 사람들에게 커피는 하루 일과 중 뗄레야 뗼 수 없는 엑세서리 같은 존재가 되었다. 최근 우리나라 커피 소비량이 아메리카노를 기준으로 1인당 연간 338잔이 소비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문제는 338잔만큼 플라스틱컵과 종이컵이 버려지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종로거리나 홍대입구 경우 거리 곳곳에 먹다 버린 커피는 쉽게 볼 수 있다. 이 플라스틱컵과 종이컵이 아무렇게나 버려지면 그만큼 환경을 악화시키는 것은 뻔한 일이다. 사람들이 커피를 좋아하는 만큼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외대 근처 한 골목길에 버려진 커피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카페에 텀블러를 가지고 가면 200원~500원 할인을 해주는 제도가 생겼다. 하지만 이 제도는 아직까지 홍보가 안된 탓인지 제대로 정착되고 있지 않은 듯 하다.
외대 근처 한 골목길에 버려진 각종 병과 커피잔
서울 동대문구의 쓰레기통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채 방치되어 있다.
얼마 전 OECD에서 2060년 우리나라의 대기오염으로 인한 조기 사망률이 세계 1위가 될 것이라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100세 시대라고 하지만 ‘나 하나쯤’ 하고 방심하는 사이 버려지는 플라스틱컵과 종이컵이 부메랑이 되어 100세 시대의 발목을 잡지 않을까 우려된다.
글 : 곽미선 대학생 기자
3. 밤하늘에 흐르는 강, 은하수.
강원도 화천 조경철 천문대
은하수를 본 적 있는가? 대부분 사람들의 대답은 “NO”일 것이다. 몽골의 평원이나 중동의 사막에선 밤하늘을 빽빽하게 채운 은하수를 볼 수 있는데 왜 대한민국에서는 은하수를 볼 수 없을까?
은하수는 여름의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별들의 강이라고 불린다. 은하수는 ‘견우직녀’ 동화에서 견우와 직녀의 사랑을 갈라놓은 강으로 잘 알려져 있다.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망원경으로 관측했으며, 수많은 별들의 집단을 은하수라고 한다.
강원도 화천 조경철천문대
현재 대한민국에서 별을 보기란 쉽지 않다.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별을 제대로 볼 수 있을뿐더러, 도시에서는 별을 보기란 쉽지 않다. 심하게 말하면 대한민국의 밤하늘은 병들어 죽기 일보 직전의 상태라고 생각한다.
그에 대한 이유는 다양하지만, 가장 첫 번째로 들 수 있는 것은 빛 공해이다. 대한민국의 밤은 너무나 밝다. 밤에도 꺼지지 않는 불빛 때문에 밤하늘의 별들은 우리들의 시야에서 사라졌다. 인공위성에서 찍은 북한과 한국의 밤의 사진을 SNS 상 혹은 기사에서 보았을 것이다. 대부분 검게 표현되는 북한과 달리, 부산에서 서울까지 밤이지만 낮과 같은 밝기를 보여준다. 현재 은하수를 육안으로 바라볼 수 있는 곳은 강원도 혹은 지리산 일대로 극히 드물다.
쉽게 볼 수 없는 대한민국 밤하늘의 별(북두칠성)
한국의 빛 공해는 세계 최악의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 독일, 미국, 이스라엘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전 세계의 빛 공해 실태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흥미롭다. 이 결과에서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빛 공해에 많이 노출된 국가’ 2위로 나타났다. 좁은 지역에 도시가 밀집되어 있는 한국의 지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빛 공해의 강도가 너무 높다.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관심과 실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빛 공해는 사람들의 건강에도 좋지 않다. 빛 공해에 노출된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전립선암, 유방암 등의 발병률이 더 높았다.
빛 공해로 물든 서울 마포대교의 모습
미세먼지에 둘러 쌓인 방화대교
두 번째 이유는 미세먼지 등과 같은 대기오염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미세먼지 대책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대한민국은 극심한 대기오염 국가 중 하나다. OECD는 대기오염에 따른 피해가 가장 우려되는 나라로 한국, 중국, 인도를 꼽았다. 또한 OECD가 발표한 “2016년 더 나은 삶 지수(BLI)”의 대기환경 영역에서 한국은 OECD국가 중 꼴찌를 기록했다.
몽골 에르덴 은하수
미세먼지의 주된 원인은 사막화로 인해 발생한 중국발 황사이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된 발전소, 경유차, 타이어의 미세먼지도 무시 못할 수준에 이르렀다. 아직까지 발생 원인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하루빨리 정부 관련 부처에서는 머리를 맞대고 지속가능한 대책을 마련했으면 한다.
서울에선 은하수를 보기 힘들더라도 서울 근교에서는 은하수를 볼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
글 : 유주상 대학생기자
4.브렉시트가 신기후체제에 대한 영국의 약속을 불확실하게 만든다
영국 정부, 그리고 EU는 여전히 신기후체제에 비준하지 않고 있다.(Photograph: Stephane Mahe/Reuters)
6개월 전, 영국 정부는 195개의 모든 UN 회원국에 대해 탄소 배출을 제한하는데 처음으로 법적 구속력을 가지는 신기후체제(Paris climate change agreement)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은 것에 대해 큰 찬사를 받은 바 있다. 그러나 현재 EU 탈퇴를 위한 국민 투표가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신기후체제에 대한 영국의 참여는 불확실하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EU 탈퇴파 진영의 승리는 기후변화 조치에 반대하는 집단들에 자극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이것이 신기후체제의 발효를 지연시킨다면, 이것은 미국의 대통령후보 Donald Trump를 비롯한 우파 정치인들이 이 협정에서 탈퇴하도록 하는 기회를 열 것이다.
이에 PwC(Pricewaterhouse Coopers)의 임원 Jonathan Grant는 “이것이 신기후체제에 대한 EU의 비준을 거부하게 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이것은 UN이 추진하는 신기후체제의 차질을 빚게 될 것이며, 또한 올해 있을 미국 대선으로 인해 참가국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Donald Trump는 만약 대선에서 당선된다면 신기후체제로부터 탈퇴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그래서 신기후체제의 지지자들은 신기후체제가 EU 회원국을 비롯한 가능한 많은 당사국들에 의해 빠르게 비준되기를 원하고 있다. 비준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 신기후체제가 즉각적으로 효력을 갖도록 할 수 있고, 후에 다른 국가들이 신기후체제를 어기는 것을 더욱 어렵게 할 것이다.
EU 회원국으로서의 영국은 온실가스 배출 제한과 같은 주요 이슈들에 대해 협상했고, EU 내부의 책임 분담에 대한 합의를 바탕으로 배출량 감축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되었다. 그러나 영국은 주권 국가로서 신기후체제에 대한 개별 당사국임에도 여전히 이 협정에 비준하지 않고 있다. 이것은 Cameron 현 정부가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차기 총리가 비준 여부를 선택해야할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프랑스는 이달 초에 신기후체제를 비준한 첫 번째 EU 회원국이 되었다. 그래서 사실상 영국도 빠르게 이 전례를 따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기후 변화에는 회의적이지만, 브렉시트에는 호의적인 우파 정치인들로부터 격렬한 반응을 유발할 것이다.
영국 에너지·기후변화 장관 Amber Rudd는 아직도 영국이 어떤 계획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만약 영국이 신기후체제를 지속한다면 그들은 배출량 감축의 기여에 동의해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아마도 온실가스에 대한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한 기후변화법에 따를 것이다. 몇몇 브렉시트 운동가들이 이 법안의 폐지를 요구하고 있지만 그것들은 의회에서 폭넓은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단기적으로는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세계자연보호기금의 기후변화 수석 고문 Stephen Cornelius는 “영국은 신기후체제에 자발적으로 서명했다. 유럽 연합의 테두리 밖에서도 영국은 여전히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우는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영국은 가능한 빨리 신기후체제를 비준하고, 영국 기후변화법 하의 다섯번째 탄소 예산을 통과시켜야 하며, 이것을 탄소 배출을 감축하기 위한 국제적인 서약으로 전환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신기후체제는 세계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2% 가량을 차지하는 영국에서 크게 이슈가 될 것이다. 하지만 우려스러운 부분은 EU 탈퇴에 대한 국민 투표가 세계에 보내는 신호이다.
Grant는 “오늘의 국민투표 결과는 앞으로 기후변화와 같은 이슈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공동의 협력에 차질을 빚을 것이다. 영국 정부는 지금까지 자국, EU, 그리고 파리 총회에서도 기후변화 조치에 앞장서왔다. 하지만 탄소세와 같은 기후 정책에는 반대하지만, 브렉시트는 환영하는 사람들 때문에 이러한 리더십은 위기에 빠졌다”고 말했다. 브렉시트가 갖는 정치적 함의들은 조금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이것이 이민 문제와 정부 규제에 대한 제한, 그리고 기후 회의론을 포함한 아젠다를 위한 슬로건으로 이용될 것이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EU와의 더 깊은 단절에 대한 보수당의 요구는 UN을 비롯한 국제기구 내의 기후변화 조치에 대한 핵심 동인이 되어 왔던 EU 내에서의 기후 합의를 더욱 어렵게 할 것이다. 또한 EU의 통합 없이는 그러한 조치들에 대한 지지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가들은 영국 정부에 브렉시트와 관계없이 기후변화에 대한 노력을 유지해 줄 것을 요구했다.
Greenpeace UK 상임이사 John Sauven은 “영국은 국제 사회를 떠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이 지구를 떠나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신기후체제가 우리의 미래에 필수적인 것이라는 사실을 의미한다. 사실은 신기후체제를 고수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또한 Cameron의 후임은 곧바로 신기후체제를 비준함으로써 국제사회와 영국의 관계를 재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Sandbag 상무이사 Debbie Stockwell은 “영국은 EU의 회원국으로서 신기후체제에 동의했다. 그렇지만 영국이 EU 탈퇴에 대한 투표를 통과시켰기 때문에, 영국과 EU 모두 이 합의에 대해 재고해야만 할 것이다. 영국이 기후 변화와 맞서 싸우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들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EU와 계속하여 일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E3G의 최고경영자 Nick Mabey는 “브렉시트 투표가 기후변화 위기를 해결해주는 것은 아니다. 신기후체제가 기후변화에 대한 최악의 영향으로부터 영국인들을 보호해줄 것이기 때문에 영국 정부는 여전히 이것을 비준하고 이행하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 : 강민선 푸른아시아 대학생기자
원문=Fiona Harvey(The guardian)
<The guardian 원문>
EU out vote puts UK commitment to Paris climate agreement in doubt
Fiona Harvey
Saturday 25 June 2016 09.00 BST
The UK government won high praise six months ago for taking a leading role in the successful Paris climate change agreement, the first legally binding commitment on curbing carbon emissions by all 195 United Nations countries.
With the vote to leave the EU, the UK’s future participation in that landmark accord is now in doubt.
More importantly, for the rest of the world, the Leave campaign’s victory provides a fillip globally for groups opposed to climate action, and if it causes delays to the Paris accord coming into effect, it could provide an opening for aspiring right-wing leaders – including Donald Trump – to try to unpick the pact.
“There is a risk that this could kick EU ratification of the Paris agreement into the long grass,” Jonathan Grant, director of sustainability at PwC, told the Guardian.
That would be a setback to the UN in itself, but also concerns participants because of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this year.
Donald Trump has vowed to withdraw from the Paris agreement if elected. Proponents of the agreement are therefore hoping for a quick process of ratification by as many parties as possible, including EU member states, which would bring the agreement into immediate effect and make it much harder for countries to renege upon afterwards.
As an EU member state, the UK negotiated on key issues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s limits as part of the bloc, and was expected to take on its own tally of emissions reductions based on an EU-wide “burden-sharing” agreement, yet to be worked out. But while the UK is also individually party to the agreement, as a sovereign nation, neither the government nor the EU has yet ratified the accord in law.
This means a future, possibly Eurosceptic, prime minister will face the choice of whether to ratify, unless the current government, led by David Cameron for the next three months, decides to do so as a matter of urgency.
France became the first EU member state to ratify the agreement individually earlier this month, so in theory Britain could follow suit quickly. But this would be an unusual step given the host of pressing issues following from the referendum, and would be likely to prompt an outcry from sections of the pro-Brexit right, prominent members of which are also climate change sceptics.
Amber Rudd, the energy and climate change secretary, who was praised by many other countries for taking a leading role at Paris, has not yet revealed what the plans are likely to be.
The UN’s climate chief, Christiana Figueres, said in advance of the referendum that Brexit would require a “recalibration” of some kind but it is not clear what that might entail.
The UK would have to agree its own contribution to emissions cuts if it stays in the Paris accord. These would most likely be based on the Climate Change Act, which sets out long-term targets on greenhouse gases and five-yearly “carbon budgets” that governments must meet. To renege on the act’s commitments would require its repeal, as favoured by some Brexit campaigners, but this is unlikely in the short term as they lack broad enough support in parliament.
Stephen Cornelius, chief adviser on climate change at WWF-UK, said: “The UK has signed up to the Paris agreement in its own right. Outside the European Union the UK can still play a leading role in fighting climate change. It should ratify the Paris agreement as soon as possible, pass the fifth carbon budget under our domestic Climate Change Act and turn this into an ambitious international pledge to cut emissions.”
That will be largely an issue for the UK, which accounts for less than 2% of global emissions. What is of much wider concern is the signal the referendum vote to leave sends to the world.
Grant said: “Today’s outcome is a major setback for the type of collaboration needed to tackl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The UK government has been a champion of climate action at home, within the EU, and in Paris. This leadership is at risk, with many supporters of Brexit also opposed to climate policies such as carbon taxes and efficiency standards.”
The wider political implications, rather than the mechanics of the accord, will take time to work out, but it is already clear that the Brexit vote will be used as a rallying cry for an agenda that frequently includes climate scepticism among its tenets, alongside curbs to immigration and to government regulation.
Many climate sceptics around the world will have been encouraged by the Brexit vote, as there is so much overlap between the two camps, and environmental and carbon goals under the EU were a key target of the Leave campaigners. For instance, Lord Lawson, one of the leaders of the Leave camp is also founder of the Global Warming Policy Foundation, a climate sceptic thinktank.
Trump hailed the referendum result in visiting the UK. Some of his supporters share his climate scepticism, and the common cause with Brexit campaigners will have given both sides a boost.
The calls from right-wing parties for further breaks from the EU could also endanger climate consensus within the EU, which has been a key driver of actions on climate change within the UN and other international institutions. Without a unified EU, support for those actions could decline.
Green campaigners were quick to call for the UK to maintain its commitments on climate change, irrespective of Brexit.
John Sauven, executive director of Greenpeace UK, told the Guardian: “Britain isn’t leav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we’re certainly not leaving the planet. That means the Paris agreement is every bit as vital to our future as it was yesterday. In fact, sticking to our Paris promises is more important than ever: we are about to negotiate new trade deals, and the last thing we can afford to do is break the commitments we made to the world just six months ago. Cameron’s successor has a chance to immediately reaffirm Britain’s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by ratifying the Paris deal.”
Debbie Stockwell, managing director of Sandbag, a campaigning group focused on the EU’s carbon commitments, said: “The UK has agreed to contribute to the Paris agreement as part of the EU. Now that the country has voted to leave, both the UK and the EU will have to reconsider this arrangement. It is vital that the UK continue to work with the EU to deliver ambitious action to tackle climate change.”
Nick Mabey, chief executive of E3G, predicted that the UK would hold true to its promises, and its national interests: “The Brexit vote does not end the climate crisis. The UK will still ratify and implement the Paris climate agreement as this protects Britons from the worst impacts of climate change.”
글: 강민선 푸른아시아 대학생기자
5.화석에너지로 달리는 전기차?
날이 갈수록 심해지는 미세먼지 문제로 여러 대책안들이 쏟아지는 가운데, 전기차가 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전철수 위원장은 [서울특별시 환경 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촉진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발의 하였고 이는 지난 6월27일 서울시의회에서 통과되었다.
그 외의 부천시 등 서부수도권 11개 도시가 미세먼지 절감을 위해 공동선언문을 채택하였고, 핵심 내용 중 하나로 전기차 인프라를 구축하여 화석에너지를 절감하고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이처럼 대기상태를 개선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절감하기 위해 전기차의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여러 곳에서 보이고 있다. 전기차는 말 그대로 전기로 가는 차를 뜻한다. 기존의 자동차들이 휘발유와 경유, 즉 석유를 구동에너지로 삼았다면 전기차는 전기모터로만 구동되기 때문에 배기가스 배출이 전혀 없다.(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기존의 석유에너지 엔진과 전기를 축적한 배터리를 함께 사용하는 것으로 배기가스 배출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렇듯 전기차가 온실 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획기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곳곳에서 전기차가 정말 친환경적이냐 라는 의문을 두고 많은 말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 논란의 중점은 바로 전기의 원천에서 비롯된다.
분명 전기차는 친환경적이다. 하지만 전기차를 움직이기 위한 에너지인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은 친환경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2013년 한국전력공사의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국내 에너지 발전량의 약 67%가 화력에너지인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전기차를 움직일 에너지의 대부분은 화석연료로부터 끌어온 것이기 때문에 에너지가 생산되는 과정 자체가 친환경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또한 전기차의 보급과 사용이 늘어난다면 그만큼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가져오기 위해 결국 화력에너지의 발전량을 더 늘려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심화된다면 애초부터 온실가스를 줄이자는 전기차의 취지가 불명확해지게 되는 것은 아닐까.
결과적으로 전기를 소모하는 전기차 자체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그 전기를 생산하는 곳에서 문제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전기차를 타지 말아야 하나? 그것은 아니다. 전기 에너지가 분명히 화력연료 발전량 비중이 높다고 하더라도 휘발유를 여러 차례 공정하는 과정까지 생각해 봤을 때, 탄소배출량에 있어서 휘발유 차가 더 높다. 이러한 총체적인 과정을 통틀어 봤을 때, 전기차가 긍정적인 면이 많은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단순히 전기차의 사용과 보급을 늘리는 것은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한 부분적인 대책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
전기차를 상용화해 나가는 것은 지속적으로 추진해나가야 할 과제일 것이다. 따라서 전기차를 움직이기 위한 전기를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과정에 대해서는 더 고찰해보고 지속적인 연구와 근본적인 대책강구에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글 : 권지민 푸른아시아 대학생기자
6.‘시원차림’으로 시원한 여름맞이.
서울시는 지난 6월17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푸른아시아와 함께 ‘시원차림 캠페인’을 펼쳤다. ‘시원차림 캠페인’은 여름에 시원하고 가벼운 근무복장을 착용하여 체감온도를 낮추고 실내적정온도를 지켜 에너지를 절약하자는 의미로 진행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행사이다.
‘시원차림’이란 ‘시원하다(cool)’와 ‘업무(business)’의 줄임말인 ‘쿨비즈’의 순화어로, 넥타이를 매지 않고 반팔이나 반바지를 입는 등 시원하고 간편한 옷차림을 뜻한다.
캠페인에서는 ‘넥타이를 던져라’ ‘환경 O.X퀴즈’ 등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참여부스도 준비되어 많은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캠페인을 진행한 푸른 아시아는 유엔사막화방지협약 공인 NGO로서 기후변화·사막화·황사 방지를 위한 조림사업을 몽골에서 진행하고 있으며 몽골 현지인들의 협동조합 운영을 통한 자립을 도와주고 있다.
글 : 정겨운 푸른아시아 대학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