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정글의 나라에서 기후변화 전시장이 되다
2013년 동남아시아의 한 나라가 갑자기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미얀마(버마로도 불림)가 그 나라이다. 미얀마는 그 동안 폐쇄된 나라로 특히 미국에 의해 ‘불량 국가’로 낙인찍힌 ‘은둔의 나라’였다. 그런데 미얀마의 테인 세인 대통령을 중심으로 하는 신정부가 2011년 이후 개방과 개혁 정책을 펴면서 미국과 중국, 일본이 미얀마에 대한 적극적인 애정공세 경쟁을 펴기 시작했다, 그 이유는 미얀마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면적이 큰 나라이면서 석유, 가스, 보석, 티크 등 산림자원 등 아직 손을 대지 않은 엄청난 자원이 묻혀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지리적으로 중국, 인도, 태국, 라오스 등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른바 30억의 인구와 접하고 있는 요충지이기에 미, 중, 일은 일제히 미얀마에 대규모 개발원조를 중심으로 지원에 나서고 있다. 중국은 2012년 일 년 간 43억 달러를 미얀마에 투지했다. 이에 질세라 일본은 2009년까지 31억불을 유·무상 원조하고 2013년에는 9억 달러를 유·무상 원조하면서 20억 달러에 해당하는 부실 채권을 탕감 해주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