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사막화 대책 – 아시아 환경협력체, 테라시아(Terrasia)를 제안함
오 기 출(푸른아시아 사무총장)
|
지난날을 돌아보면 몽골은 초원과 사막, 산악지대가 조화롭게 구성된 나라였고, 지구상에서 드물게 자연의 원색이 보존된 아름다운 나라였다. 그런데 1990년대 들어 몽골에는 무분별한 벌목, 원상복구 없이 진행된 지하자원개발, 과도한 방목이 이어졌다. 또한 대형 산불들이 발생하여 환경과 주민의 생활기반이 악화되고 있다. 아울러 아시아 특히 일본과 한국, 대만, 중국의 급격한 공업화는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켰고, 이는 몽골의 기후변화를 촉진시켰다. 기후변화로 인해 비가 집중적으로 오면서 홍수가 발생하여 초지의 표토층을 침식시켜 몽골을 더욱 황폐화시키고 있다. 몽골은 전국토의 90%가 사막화 위기에 처해있다는 점에서 매우 강도 높은 대책이 필요하다. 문제는 그 대책이 국제적인 협력을 통한 해결이 유력한 대안이라는 점이다.
몽골 사막화는 국제협력으로 해결해야
아시아 환경협력체(Terrasia)를 만들어야 그러면 이제 몽골사막화방지를 위한 국제협력의 구체적인 대안을 생각해보자.
테라프리카는 아프리카정부, 아프리카연합프로젝트, NGO, 세계은행, 유럽위원회, UNDP, UNEP, UN 그리고 많은 기부자들의 파트너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이 야심차게 사막화방지계획으로 밝힌 테라프리카는 최선의 토지황폐화방지 대책을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12년간 최소 4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되어 있다. 이제 사막화 방지 공동 협력체를 만들기 위해서 이미 있는 테라프리카 사례를 참고하여 문제의 심각성에 적합한 해법을 찾아 해결해야 할 것이다. 어쩌면 현재 사막화로 인한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아시아 환경협력체를 통해 문제해결을 하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