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2-[Main Story] 유목에서 숲으로, 숲에서 사람으로
윤전우, (사)푸른아시아 몽골지부장 지난호에 이어 이번에는 바양노르사업장을 소개할까 합니다. 푸른아시아는 2007년부터 몽골정부의 그린벨트사업과 연계하여 이 지역에 아시아희망의숲을 조성하기 위한 양묘장과 조림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초기에는 여느 사막화방지사업과 비슷한 방풍림조성에 전력투구하였습니다. 하지만 2008년 몽골 전역에 대한 타기관 및 단체의 조림사업지와 몽골 그린벨트사업지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면서 방풍림조성만으로는 항구적인 숲의 보전과 이를 통한 토양복원의 결과물은 달성하기 힘들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조사 당시 실제 진행되었던 조림사업 중 한 곳도 제대로 성공하거나 유지되고 있는 곳은 없다는 결론이 나오기에 이르렀습니다.
울타리를 치고 나무를 심는 것은 여느 조림장과 다를바 없지만 우선 도입한 것은 지역주민들을 고용하여 나무를 심고 물을 주는 관리작업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특히 기계를 통한 물주기 작업은 최대한 줄이고 인력을 활용한 물주기를 진행함으로써 마을의 실업율을 낮추고 마을 소득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만들어 내었습니다. 하지만 초기에는 1인당 노동강도나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많이 제기되었고 주민들 또한 푸른아시아에 대한 신뢰성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갈등 또한 심심찮게 발생하였습니다. 하지만 4년이 흐른 지금 1인당 노동강도나 생산성은 이전의 3~4배 정도로 높아졌고 나무를 보는 안목 또한 높아졌습니다. 예를 들어 초기에는 심겨진 나무에 대한 가지치기에 대해 너무나 심한 반대와 갈등이 빚어졌지만(사실 힘들게 키워온 나무를 왜 삭둑 잘라버리냐는 것이 주민들의 반대 이유였습니다. 그리고 가지치기를 하면 나무가 살지 못하고 죽는다는 통념에 사로잡혀 있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먼저 가지치기를 해야하는 것 아니냐고 제안할 정도가 되었습니다. 다음단계로 주민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나무를 심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그냥 방풍림이 아니라 유실수나 꽃이 피는 나무들을 심어 주민들의 관심을 이끌어내고 소득창출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나무들을 함께 심는 것입니다. 그래서 도입한 수종이 차차르강(비타민나무)와 우흐린누드(Black current)를 시범적으로 심어서 주민들의 태도를 관찰하였고 2009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일부는 내년부터 수확을 앞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느 차차르강 농장처럼 유실수만 심는 것이 아니라 방풍림과 유실수가 어울려 잘 자라줘야 과실의 수확량이나 과실의 크기 또한 좋아진다고 교육하면서 유실수를 키우기 위해 방풍림 또한 없어서는 안될 존재로서 인식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의 지역에 가면 쉽게 볼 수 있는 다양한 ‘마을숲’을 상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런 노력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정착하게 된 곳이 바양노르사업장이고 이제는 2008년도에 심은 나무들이 2m를 넘기고 있고(2008년도에 심고 우박을 맞아 생존율은 그리 좋지 않지만) 2009년도에 심은 나무들도 이제는 한 살 많은 형들을 넘어설 만큼 빠르게 자라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감자농사를 지어 거의 실패했지만 이제는 1톤의 감자를 뿌리면 4톤 정도의 수확을 달성할 정도가 되었습니다. 이 과정 또한 다양한 실험과 주민들과의 치열한 논쟁이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몽골 주민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방법으로 감자만 심고 아무런 관리도 하지 않고 그냥 내버려두는 방식으로 경작을 시도하였습니다. 결과는 1톤을 심어 1.2톤이 나오는 정도였습니다. 다음해는 감자를 심고 관수는 하되 업무시간이 아닌 시간에 팀별로 자유롭게 주도록 하였습니다. 하지만 심고 관리하는 방법에서 팀마다 제각각으로 이랑에다 심는 팀, 고랑에 심는 팀, 심고 물만 주고 김매기를 하는 팀, 그렇지 않은 팀….. 결과는 1톤을 심어 3톤 정도의 수확을 거두는 발전된 성과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올해는 어디서 배워 왔는지 감자 모종마다 북을 만들어 예쁘게 쌓아올렸습니다. 아직 성과는 나오지 않았지만 잎과 줄기가 자라는 모양을 보아서는 작년보다도 훨씬 나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모종 및 씨감자를 분배할 때도 개인으로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작목반의 개념을 살려서 팀제로 경작을 합니다. 개인이 할때의 작업부담과 리스크관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렇고 수확 후에도 팀별로 자율적으로 분배하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물론 지금은 모종이나 씨감자는 모두 팀별로 구매하도록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익히고 최근에는 개인적으로 다양한 작물을 푸른아시아를 통해 구입해서 집뜰 안에서 재배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푸른아시아의 입장에서야 다양한 실험들이 진행되니 좋고 모종을 구매하면서 본인의 자본이 투자되었으니 열심히 할 것은 당연한 결과입니다. 이런 다양한 노력들을 통해 식물, 즉 나무나 채소는 관리를 해야만 하고 그럴수록 더 잘 자라고 수확도 많아진다는 것을 깨우치고 있습니다. 이런 노력들의 바탕에는 한국 파견간사들의 엄청난 땀방울과 눈물이 숨어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풀 한포기 심어 본 적이 없는 청년들이 현장에 1년간 던져져 책을 뒤지며 국제전화로 한국의 지인들에게 물어보며 나무며 채소를 키우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성공했다고 단언할 수 없지만 이런 노력들이 쌓여 다른 이들이 맛보지 못한 보람과 성과를 느끼고 사막화방지를 위한 힘든 노력과 행복한 성과물들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