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은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자연은 사람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
오 기 출(푸른아시아 사무총장) |
|
2000년, 우리나라 여행객들이 잘 가지 않던 몽골의 북부지역으로 조사를 위해 찾아갔다. 당시 한국, 몽골, 일본의 시민운동가들과 전문가들로 구성된 조사팀이 찾아간 곳은 몽골과 러시아 국경지대인 ‘투친나르스’라는 낯선 지역이었다. 국경 너머로 몇 채의 집들이 띄엄띄엄 있는 러시아의 마을이 보였는데, 그 마을은 집과 도로들이 누런 먼지에 뒤덮여 있었다, 풀과 나무도 보이지 않았고 사람의 모습도 찾을 수 없었다. 몽골 국경지역인 ‘투친나르스’는 원래 거대한 산림지역 이었는데 1996년 대화재로 인해 불탄 나무와 두텁게 쌓인 회색의 잿더미만이 남아 있었다. 살아 있는 것은 찾아간 사람들의 코와 눈에 남은 약간의 물기라도 취하려고 달려드는 날파리때가 전부였다. 근처의 사람들이 있는 마을로 갔지만 대다수 유목민들은 풀과 물이 사라지자 떠났고, 남아 있는 몇몇 주민들의 얼굴에는 생기가 남아 있지 않았다. 몽골 유목민들 특유의 넉넉한 인심과 여유로움은 사라지고 다만 이들도 하루빨리 마을을 떠나고 싶어 했다. 돕고자 찾아온 낯선 외국인들에게 경계심과 적대감을 보이는 사람들도 있었다. 모든 것이 파괴되어 있는 곳, 생태와 생명이 파괴된 현장에는 선한 의지조차 의심과 경계의 대상이 된다는 것에 놀라왔다.
그 이후, 나는 당시 조사팀으로 참여한 활동가들과 함께 지구가 처한 참담한 파괴현장인 사막화지역, 기후변화현장에서 지역주민들과 함께 생태복원을 하는 2000년부터 2002년까지 3년 동안 우리는 기후변화와 사막화지역의 생태복원을 위해 몽골에서 열심히 나무를 심었다. 그렇지만, 생존율은 0%였다. 유목민들에게 나무와 연약한 잎은 양과 염소의 먹이로 보였을 뿐이다. 그러지 않아도 풀이 없어 먹이를 못주는 상황에서 어린 나무줄기와 잎은 그저 풀을 대신할 먹이였던 것이다. 만일, 2002년 갈림길에서 우리가 손을 들고 철수했다면 오늘날 국제NGO인 ‘푸른아시아’도 없었을 것이다. 몽골과 국제사회에서 사막화방지모델로 인정하기 시작하는 주민자립 모델도 없었을 것이다. 그것은 나무를 넘어 사람에게 희망을 주는 단순한 목표가 만들어낸 결과였다. 지구에게 생명과 희망을 인류에게 성과가 있다면 그 동안 성장을 위해 연약한 지구의 대기와 땅, 바다를 고갈시킨 것이다. 나는 이 참담한 현실을 바로 잡기 위해 인류가 거대한 인프라를 개발하고, 거대한 문명전환을 해야 달성할 수 있다고 보지 않는다. 지구생명을 살리려는 작은 행동에 답이 있다고 본다. 2004년 노벨평화상을 아프리카에서 사막화방지를 위해 각지의 마을, 학교, 교회 등에 3천만그루의 나무를 심은 케냐출신 왕가리마타이 여사가 받았다. 나는 벌새의 보잘 것 없는 행동에 지구 생명과 인류의 희망이 있다고 본다. 장 지오노가 쓴 ‘나무를 심은 사람’을 읽어 보면, 평범한 한 노인의 정신적, 육체적 노력만으로, 희망이 사라지고 선한 사람도 악한 사람이 되어버린 희망이 없는 불모지를 비옥하고 풍요로운 ‘가나안’을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은 사람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 인간에게 주어진 놀라운 힘을 지구생명 회복에 사용해야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