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94-[대학생기자단-정지웅] ISO 140001 마크를 본 적 있나요?
상품을 살 때에 한 번 쯤은 ISO라는 마크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ISO란? 인증규격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세계 공통적으로 제정한 품질 및 환경시스템 규격으로 ISO 9000(품질), ISO 14000(환경) 등이 있다. 그 중 ISO 14000 시리즈에는 환경 감사, 환경 경영 시스템, 환경 영향 평가, 환경 표지, 제품 전 과정 평가, 관련 용어의 정의 등에 관한 많은 표준 규격이 포함된다. |
ISO14000 시리즈들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ISO 14001은 환경 경영 시스템 표준으로써 이른바 ‘환경 경영’을 위한 절차, 조직 및 구조, 책임 공정 및 경영 자원 활용 등의 모형을 제시한다. ISO 14020 시리즈는 제품이 환경을 배려했다는 것을 표시 하는 환경 표지에 관한 규격에 관한 것이다. ISO 14030 시리즈는 조직, 기업의 환경 활동을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분석, 측정, 평가하는 방법을 규정한, 환경 영향 평가법에 대한 표준이다.
1992년 리우지구정상회의를 통해 ‘환경경영’이라는 새로운 기업경영 패러다임이 나타났다. 여기서 환경경영은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실천적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ISO 14001이라는 환경 경영 시스템은 기존의 일부 소수의 환경 담당 관리자들에 의해 운영되어 오던 방식을 벗어나, 회사의 모든 절차, 구조 내의 전 직원의 참여를 통해 예방적으로 환경문제를 관리하는 방식이다. 기업은 이러한 시스템 인증을 통해 이윤 창출과 환경의 개선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업이 이러한 ISO인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살펴 보면, 우선 이윤 창출이라는 측면에서 폐기물 및 에너지 소비 최소화를 통해 직접적인 비용을 절감하는 것과 환경법규 준수를 통한 경쟁 우위 확보, 그리고 친환경적 기업으로의 이미지 개선, 국제적 표준 획득을 통한 대외 무역장벽 극복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환경의 개선이라는 측면에서는 위의 효과를 통한 개선도 있을 것이며, 환경사고의 사전예방 및 최소화, 기업의 환경 분야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 등이 있을 것이다.
이러한 ISO 14001 인증제는 2015년도에 개정되어 ‘ISO 14001: 2015 인증’이라고 불리는데, 조직의 리더십을 강조하며 보다 더 기업의 전 과정의 관점을 고려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 보호와 준수 의무를 강조하고, 체계적이며 지속적인 오염방지 및 개선활동을 위해 대내외적인 인식과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
결국 기업은 환경경영의 이미지를 향상 시켜 실질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적인 책임을 부담하기를 원하는 잠재 고객들을 확보할 수 도 있다. 또한 환경 경영을 실시하는 국내 기업의 대부분이 제품 구매 시 해당 제품의 환경성, 제조회사의 환경관리 수준을 구매 업체 선정기준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환경 경영 시스템 인증은 환경적 영향을 관리하는 수단을 제공하여 고객과 사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도 타회사의 같은 제품을 두고 고민한다면, 환경을 고려하여 ISO 14001 마크를 취득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반적인 소비성향이 이렇게 된다면 기업도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참고 : http://www.ksa.or.kr/intro.jsp KSA 한국표준협회
정지웅 푸른아시아 대학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