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몽골] 나는 도우러 왔지만, 도움 받고 있어요 ? 김찬미 단원
몽골에 온지 어느덧 100일이 넘었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그 시간동안, 참으로 많은 생각들이 머리를 스쳤다. 정말 잠시 잠깐 스쳐지나가서 기억조차 나지 않는 생각들도 있었고, 한 생각이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주 몇 달간 머릿속에 맴도는 경우도 있었다. 여러 생각들 중 내 머릿속을 가장 많이, 가장 오래 차지하고 있는 생각은 바로 내가 이곳에 있는 ‘이유’에 대한 것이다. 나는 왜 이 곳 몽골에 있는가. 그리고 나는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
처음 몽골에 가겠다고 했을 때, 주변에서 ‘몽골에는 왜 가?’, ‘뭐 하러 가는 거야?’라는 질문들을 참 많이도 받았다. 그러면 그 때마다 내가 했던 답변은 ‘개발하러 가.’였다. 그러면 평소 국제개발협력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은 개발이 무엇인지에 대해 물어보곤 했고, 그 때마다 내 대답은 ‘간단히 말하면, 도와주러 가는 거야.’였다. 물론 그 때의 나 역시 개발협력을 단순히 도와주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었고, 또한 그러한 정의를 좋아하지도 않았지만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정의라고 생각했었다. 이에 많은 사람들에게 그렇게 설명하곤 했었다.
주민분들도 내게 종종 물어보시곤 한다. ‘아노찡, 넌 몽골에 왜 왔니?’ 그러면 나는 할 말이 없어진다. 한국에서는 너무나도 쉽게 얘기했었던, ‘도와주러 가’라는 말을 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내가 너무나도 쉽게 내뱉었던 단어인 ‘도움’의 대상이 되는 그 분들에게 그 말을 직접적으로 할 수가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실제로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 더 크다. 내가 이 곳 몽골 땅, 돈드고비 지역에 파견되어서 정작 맞닥뜨리게 된 현실은, 내가 그 분들을 돕기는커녕 오히려 그분들에게 도움을 받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처음 관수작업을 하기 시작했을 때, 양동이를 들고 어디에 관수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하던 내게 이곳에 물을 주면 된다고 먼저 알려주셨던 것은 주민분들이었다. 관수작업에 어느 정도 익숙해진 요즈음에도, 무거운 양동이를 들고 가느라 낑낑대고 있으면 내 손에 든 양동이를 뺏어서 당신들이 물을 주고 오시고, 저수조에 차있는 물이 얕아 물을 퍼내기가 어려울 때면 내 양동이를 가져가서는 당신들이 물을 퍼주시고, 심지어 내 양동이에는 일부러 물을 적정량에 딱 맞춰서 가볍게 담아주시기도 한다. 이 밖에도 매일매일 힘들지 않느냐, 춥지 않느냐, 한국에 있는 가족들이 그립지는 않느냐며 나의 안부를 물어주신다. 조금이라도 힘든 기색이 보이면, 게르에 들어가서 쉬라며 내 등을 떠미시곤 한다. 그러면서도 당신들은 날씨가 흐려도, 바람이 거세게 불고, 비가와도 묵묵히 나무를 심고, 물을 주고 계신다.
나는 이 분들을 도우러 왔지만, 사실은 도움을 받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랑받고 있다. 아니 어쩌면, 내가 이 분들을 도우러 왔다고 생각한 그 자체로 잘못된 것은 아니었나 싶기도 하다. 나는 그냥 이 곳에 점을 이으러 왔을 뿐이다. 10년째 이어져 온 푸른아시아 단원 중의 한 점으로, 돈드고비 사업장의 9번째 점으로. 나는 그렇게 한 점으로써 그 다음 점까지 선을 이어갈 뿐이다. 그리고 이곳의 주인공은 내가 아닌 지역주민들이다. ‘내’가 무언가를 하려고 했던 그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었을까. 거창하게 ‘국제개발협력’이라는 이름을 대며 무언가 해보겠다고 했던 그 생각 자체가 자만이 아니었을까.
조림 사업에 익숙해질수록, 이곳에서의 생활에 익숙해질수록, 처음의 열정과 패기는 사라지고 점점 안일함만이 남는다. 앞서 말한 것처럼 내가 무엇이라도 되는 줄 알고 뭐라도 해보려했던 그 자만 역시 경계해야 할 것이지만, 초심을 잃고 열정을 잃은 안일함은 더더욱 경계해야한다. 개발은 비전을 잃는 순간 의미를 잃는다. 비전과 이상이 사라지는 순간, 이곳에서 나의 존재 이유조차 사라지고 만다. 나는 이곳에 대충 시간 때우러 온 것이 아니다. 도피는 더더욱 아니다. 자만과 안일함 사이의 아슬아슬한 줄타기 속에서 어떻게든 앞으로 나가보고자 발버둥을 치고 있는 요즈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