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72-[강찬수 환경전문기자의 에코사전④] 고래 Whales

바다에서 수중생활을 하는 커다란 포유동물이다. 육지의 살던 동물이 약 6000만 년 전에 진화 과정에서 바다로 되돌아가 지금의 모습으로 적응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에는 흰긴수염고래?밍크고래?범고래?큰돌고래?쇠돌고래?상괭이 등을 포함해 100종에 가까운 고래가 있다. 대왕고래라고도 부르는 흰긴수염고래 중에서도 남반구에 사는 것은 몸길이가 약 33m, 몸무게는 약 179톤에 이른다. 한반도 주변에서 자주 눈에 띄는 상괭이는 몸길이가 1.5~2m에 불과하다.

 

%eb%8f%8c%ea%b3%a0%eb%9e%98-%ec%87%bc-%ec%98%a4%ed%82%a4%eb%82%98%ec%99%80-img_0565

돌고래 쇼 오키나와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반구대 암각화에는 선사시대 사람들이 고래를 잡는 장면이 묘사돼 있다. 신석기시대부터 인류는 바다로 나가 고래를 잡았을 만큼 포경(捕鯨?고래잡이)의 역사는 오래됐지만 고래 숫자를 위협할 만큼 많이 잡지는 못했다.

기술이 크게 발전한 17세기부터 유럽 국가들은 경쟁적으로 고래를 잡아들이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포획한 고래의 지방층을 끓여 고래기름을 만들었다. 고래기름은 윤활유와 붉을 밝히는 기름, 비누?마가린?화장품으로 사용됐다. 전 세계 바다의 고래는 300여 년 만에 숫자가 급격히 줄었다.

 

%ec%9a%b8%ec%82%b0-%ea%b3%a0%eb%9e%98%ea%b4%80%ea%b4%91%ec%84%a0-img_9728

울산 고래관광선

 

국제포경위원회(IWC)는 1986년 이후 상업적인 포경을 금지하는 결정을 1982년에 내렸다. 하지만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는 IWC 결정에 따르지 않고 포경을 계속하고 있고, 일본도 과학연구를 핑계로 내세우고 포경을 계속하고 있다. 2015년 12월에서 2016년 3월 사이에만 일본은 남극해에서 333마리의 밍크고래를 잡았다. 한국 정부도 2012년 일본처럼 과학적 포경을 추진하다 국내외 여론에 밀려 포기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고래를 불법으로 잡는 경우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국내에서는 2011~2015년 사이 5년 동안 1만337마리가 혼획됐다. 하루 6마리 꼴이다. 작살 등을 사용해 적극적으로 잡는 대신에 미리 쳐놓은 그물에 고래가 걸려 죽는 경우를 혼획이라고 한다.

 

%ec%9a%b8%ec%82%b0-%ec%9e%a5%ec%83%9d%ed%8f%ac-%ea%b3%a0%eb%9e%98%ec%b2%b4%ed%97%98%ea%b4%80-img_9749

울산 장생포 고래 체험관

 

혼획된 고래 중에는 ‘토종 돌고래’라고 하는 상괭이가 5818마리로 가장 많고, 참돌고래가 1914마리. 밍크고래가 382마리다. 상괭이는 2005년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 조사에서 개체수가 3만5000마리에 이르렀으나 2011년에는 1만3000여 마리로 급감했다. 이에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상괭이 혼획을 막기 위해 상괭이가 스스로 탈출할 수 있는 어구를 개발하기도 했다.

혼획으로 잡힌 고래는 발견한 해양경찰에 신고한 뒤 경배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울산이나 경북 포항 등지에서는 시장에서 고래고기 자체를 판매하거나 식당에서 음식을 만들어 팔기도 한다. 하지만 고래 고기 유통을 허용하기 때문에 불법 유통이 근절되지 않고 있다. 국내에서 연간 유통되는 밍크고래는 240마리 분량이고, 혼획되는 것이 70~80마리 정도이므로 나머지는 불법 포획인 셈이다.

 

%ec%9a%b8%ec%82%b0%ec%9e%a5%ec%83%9d%ed%8f%ac%ec%9d%98-%ea%b3%a0%eb%9e%98%ea%b3%a0%ea%b8%b0-%ec%9d%8c%ec%8b%9d%ec%a0%90img_9711

울산 장생포의 고래고기 음식점

 

해경에서는 고래의 불법포획과 불법 유통을 막기 위해 혼획된 고래에서 DNA를 채취한다. 채취한 고래 DNA를 분석해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만들어 둔다. 해경에서는 주기적으로 고래 고기를 취급하는 식당이나 창고를 단속해 보관 중인 고래 고기에서 채취한 DNA와 데이터베이스에 들어있는 DNA를 비교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없는 DNA가 검출됐다면 불법포획이나 불법유통이 이뤄졌음을 알아낼 수 있다.

울산에서는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고래가 헤엄을 치는 것을 구경하는 고래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넓은 동해바다를 헤엄치는 돌고래 떼를 바라볼 수도 있다. 2015년 고라배다여행선은 총 184회 운항을 해서 4만 명의 관람객이 이용을 했다. 고래관광 열기는 ‘2016 울산고래축제’가 열렸던 5월 26~29일 나흘 동안 67만 명이 축제 현장을 방문한 데서 알 수 있다. 또 2015년 한해 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도 44만4849명이 방문을 했다.

 

%ed%98%bc%ed%9a%8d%ec%9c%bc%eb%a1%9c-%ec%9e%a1%ed%9e%8c-%eb%b0%8d%ed%81%ac%ea%b3%a0%eb%9e%98-jn5g4458

혼획으로 잡힌 밍크고래

 

한편 고래가 방향을 잃고 육지로 밀려와 목숨을 잃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우두머리를 잘 따르는 고래의 특성 탓에 우두머리가 어쩌다 잘못 판단하면 떼죽음에 이르게 된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많은 과학자들은 적군의 잠수함이나 수중 물체를 수색할 때 잠수함이 사용하는 수중 음파 탐지기(SONAR)에서 발사하는 강력한 음파가 고래의 청각을 파괴한 탓으로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수중 음파 탐지기 등에서 발생하는 바다 속 소음 탓에 많은 고래들이 청력을 잃어가고 있다. 2012년 7월 미국 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미 해군은 소나 등 군 장비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연간 25만 마리 이상의 고래·돌고래 등이 청력을 일시적 또는 영구히 상실하고 있으며 갈수록 그 숫자가 늘고 있다고 추산하고 있다. 소음을 일으키는 것은 음파탐지기 외에도 선박의 엔진, 수중 무기, 석유·가스 탐사용 산업장비 등이다. 미 해군은 태평양·대서양 상 작전을 늘릴 경우 청력을 상실하는 고래 등이 연간 100만 마리 이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과거 포경으로 고래를 멸종위기로 내몰았던 인류가 이제는 수중 소음으로 고래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는 셈이다.

 

 

관련 도서

≪고래의 노래≫

남종영 지음?궁리

고래의 종류와 생태, 포경의 역사 등 고래와 관련된 다양한 사실들을 쉽게 풀어놓은 책. 국내? 사례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사진과 그림 등 풍부한 자료도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