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68-[미얀마지부 이모저모] 미얀마지부의 향후 활동 ‘빅픽처’ 그리기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푸른 아시아 미얀마 지부에서 인사드려요~
잘 알고 계시겠지만 푸른아시아 미얀마 지부는 2013년 만들어져 3년째 미얀마에서 활동해 오고 있고 지금은 바간 전문가 윤석진 팀장님을 비롯, 3명의 다국적 활동가들이 열라(?) 활동하고 있답니다. 한 달에 한번, 미얀마의 아름다운 풍광과 함께 미얀마 지부의 소식들을 전해 드릴게요.^^

지난 6월은 미얀마지부에 다양한 손님들이 찾아오셔서 모처럼 북적북적 활기를 띠었는데 요 2년 동안 바간에 살면서 구석구석을 파악하고 있는 팀장님의 활약이 컸고 모 일간신문에 팀장님이 소개 되는 ‘가문의 영광’도 있었답니다~~ㅎㅎ

 

# ‘미얀마 기후변화 대응 위한 조림 및 주민 역량강화사업’ 전문가단 방문

6월6일부터 12일까지 일주일동안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조림 및 주민 역량강화’ 사업의 PM(Program Manager)이신 이천용, 손봉영 두 전문가들과 본부의 신혜정 팀장께서 바간을 방문하였습니다. 일주일동안 전문가단은 1년 전, 나무를 심은 팔린공 조림지 나무들의 생장상태를 살펴보고 조림지의 보존과 나무 생장에 필요한 여러 조언을 해주셨는데요, 때마침 이틀 동안 바간을 방문한 외교통상부 출입기자단 40여명에게 건조지역의 기후 특성과 역사, 건조지역 조림의 중요성 등 정부행사에서 얻을 수 없는 귀한 정보들을 제공해 주기도 했답니다.

 

1

사진1. 깐지공 조림장 방문 / 2. 나무를 살피는 손봉영 전문위원

 

2

사진3,4. 기자단을 대상으로 한 이천용 박사님의 사업소개

 

# KCOC(국제개발협력단체협의회) 봉사단원 교육

6월 13일~15일, 양곤의 차트리움호텔에서 KCOC(국제개발협력단체협의회)가 주최하는 KCOC 봉사단원의 안전관리 교육이 있었는데요, 이날 교육은 봉사단원뿐 아니라 미얀마에 파견되어 있는 각 NGO의 지부장님, 관리 책임자들까지 20여명이 모여 유익한 시간을 보냈답니다. ‘위급상황이 닥칠 경우, 우리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교육의 핵심이었지만, 교육보다 더 좋았던 건, 벌레와 더위와 외로움을 잠시 잊고 깨끗한 잠자리와 맛있는 식사, 모처럼 같은 일을 하는 친구, 동료들을 만나 밀린 이야기들을 나누느라 시간가는 줄을 몰랐다는 것. 2박3일 동안 휴식같은 워크숍을 마치고 9월에 예정되어 있는 2차 워크숍을 기대하며 아쉬운 작별을 했답니다.

 

3

사진5. 황정아 단원의 푸른아시아 소개 / 사진6. 코이카 문상원 부소장의 SDGS강의

 

# 오기출 총장님과 이재훈 지역개발 전문가 방문

24일 ~ 30일 푸른아시아 오기출 총장님과 지역개발 전문가 이재훈 박사님께서 방문하셨답니다. 1주일간의 방문기간 동안 전년도 사업지인 팔린공 조림지, 사가잉주의 떼야마을, 앞으로 활동 지역이 될 수 있는 낫마욱의 메살리빈 마을, 네피도의 미얀마 산림연구원 방문까지 날마다 강행군을 이어갔답니다. 특히 미얀마지부의 향후 활동의 빅픽처를 그리기 위한 활동가들과의 토론이 틈나는 대로 이루어지기도 했답니다. 이렇게 해서 그려진 빅픽처의 밑그림은 첫째, 한국의 앞선 기술력과 결합한 튼튼하고 효율적인 화덕을 개발하여 건조지역에 보급하여 숲을 보호하고 탄소를 줄이는 일, 둘째, 주민들의 삶과 밀착된 Community Forestry 공동체 숲을 조성하여 숲을 보호하고 빈곤을 줄이는 일, 셋째, 미얀마에서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빈곤을 줄이는 활동에 조력을 얻고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는 일로 정리했답니다. 이를 위한 첫 활동으로 낫마욱 타운십 메살리빈 마을의 주민들이 추진하고 있는 중학교 건축기금을 모으는 일에 푸른아시아가 힘을 보태기로 했답니다. 우기 때 갑자기 불어난 물에 휩쓸려 갈 수 있는 위험 때문에 학교에 갈 수 없는 메살리빈 마을의 아이들이 안전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십시일반 힘을 모아주시면 좋겠습니다.

 

4

사진7. 파파야와 함께 / 사진8. 깐지공 조림장 방문

 

5

사진9. 떼야마을 관정 방문 / 사진10. 모든 가정까지 보급된 수도시설

 

6

사진11. 산림과학원 따웅원장 면담 / 사진12. 화덕 개발부 방문

 

7

사진13. 낫마욱 메잘리빈 마을 주민 만남 / 사진14. 메잘리빈 학교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