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33-[Main Story] 미얀마, 나무심기를 넘어 사람을 키우기 위해
이종산, 푸른아시아 미얀마 지부장 푸른아시아(Green Asia Network)가 미얀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2008년이었다. 그해 5월 2일, 미얀마에는 사이클론 나르기스(Nargis)가 덮쳤고, 그로 인해 13만3천6백여명(사망 77,738명, 실종 55,917명)의 사망·실종자와 1백만채의 가옥이 전파되었다. 열대성 폭풍 나르기스는 2003년 한국을 할퀴고 간 태풍 매미나, 2005년 미국 뉴올리언즈를 폐허화시켰던 카트리나보다 한등급 낮은 SSHS4등급 사이클론이다. 또 이후에 미국합동경보센터는 나르기스는 열대성 저기압등급중 가장 낮은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미얀마지역 RSMC를 맡고 있는 인도 기상청 야다브 대변인이 “26일에 태풍 나르기스가 오고 있음을 알려줬다”고 밝혔듯이 나르기스는 4월 27일 벵갈만에서 발생하여 5월 3일 소멸했고, 5월 2일 단 하루만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것이다. 예보가 있었음에도 큰 피해를 입힌 원인은 무엇일까? 기후변화때문일까?
미얀마의 공식명칭은 미얀마연방공화국(The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이다. 내륙 쪽으로는 중국, 인도, 방글라데시, 태국, 라오스, 인도네시아와 바다 쪽으로는 벵갈만과 안다만의 중앙에 위치하고, 북으로 올라갈수록 해발고도가 높아지며 중국과 국경지역에는 5천m가 넘는 까까보라지 산이 있다. 석유와 천연자원등 광물자원이 풍부하고 티크 목재와 보석으로도 유명하다.
지금 미얀마는 개혁·개방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올해만 해도 미얀마 떼인세인 대통령이 미국, 영국, 일본 등과 정상외교를 펼치며 국제무대에 더 이상 폐쇄, 은둔의 국가가 아닌 개방된 국가로 문호를 열어 제끼고 있다. 여기에 중국은 발끈하며 일본을 미국의 앞잡이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발끈하고 있다. 그동안 맹주로서 자임해오던 중국으로선 당황하지 않을 수 없는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드러나진 않지만 열강들의 속내는 자원과 시장경제 사이에서 밥그릇 싸움(?)의 암투를 벌이는 모양새다. 이와는 달리 미얀마의 환경(기후변화)문제는 기후변화의 전시장으로 변해가고 있다. 또한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 환경문제 해결과 빈곤 퇴치, 이 둘은 떼려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도시에서는 환경문제가 발생되면 돈으로 해결하지만 농촌에서는 폐농약병, 폐비닐 처리문제, 실갯천 오염문제 등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대를 이어온 가난으로부터도 벗어나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다. 저개발국의 실정은 더하다.
2008년 태풍이 나타나지 않던 지역인 벵갈만에서 발생한 사이클론 나르기스는 에이야와디 강을 타고 양곤까지 덮쳐버렸다. 양곤 근처의 페허화된 한 지역에는 금년 5월까지 출임금지 지역이 있을 정도로 피해가 컷었다. 5시간 정도의 배를 타고 벵갈만과 에이야와디강 하구가 연접한 메인말라섬을 찾았을 때 섬주민 3천명중 2천5백명이 죽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멘붕에 빠지기도 했다. 폐허야 시간을 두고 복구하면 되지만 생떼같던 죽은 사람들은 어찌할 것인가? 살아남은 사람들은 건강하고 힘 있는 사람들이고 노인, 어린이, 여성 등 대부분 사회적 약자는 거의 살아남지 못한 것이다. 이렇듯 환경 피해는 사회적 약자와 빈곤문제와 연관돼 그 피해는 더욱 크게 나타나고 있다.
푸른아시아는 10년 전부터 ‘기후변화로부터 안전한 아시아를 만든다’는 목표 아래 동북아 지역에서는 몽골에서 활동을 벌여 왔다. 그 결과 450ha에 45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고, 사람을 키우고 있다. 서남아시아 지역에서는 미얀마에서 몽골에서의 경험과 실천을 살려 미얀마에서 지속가능한 Community Forestry 활동을 벌이기로 하였다. 5년 전부터 준비를 해오다가 금년 3월 미얀마에 활동가를 파견하여 나르기스 피해지역 및 미얀마 중부지역의 건조지(Dry Zone)에서 타당성 조사를 마치고 최근 미얀마 양곤에 지부 사무소를 설치하고 미얀마 정부에 지부 설립등록을 마쳤다. 이제 시작이다. 나무심기를 넘어 사람을 키우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