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에 중독된 인류는 생존할 수 있을까?
오 기 출(푸른아시아 사무총장)
|
1. 개인적으로 기후변화, 사막화 등 지구촌의 환경문제에 뛰어들게 된 계기나 동기가 무엇이었나?
나는 1981년 대학에 들어가서 민주화 운동을 했다. 그러면서 1980년대, 1990년대 민주화운동단체에서 정책을 담당하는 활동가로 지냈다. 사실 1997년 전까지는 지구촌의 환경문제에 대해 관심이 없었고, 해외에 나가본 적도 없었다. 영어 단어도 기억나는 것이 없었을 정도였다. 또 대학에서 경제학을 전공했기에 국제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애초에 관심도 인연도 없었다. 그런데 1997년에 우연히 일본으로부터 ‘아시아의 미래’라는 주제로 한· 일 공동 심포지움을 열자는 제안을 받았다. 호기심으로 동의를 하였고 1998년 2월 서울에서 일본 팀들을 초청해서 심포지움을 개최했다. 사실 별로 기대한 것도 없었다. 그런데 해외에서 참여한 발제자들의 발제문을 보고, 이야기를 듣다가 현재 지구촌이 ‘환경, 빈곤, 평화, 금융문제’로 위기에 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접하게 되었다. 특히 시민들이 이로 인해 가장 큰 피해자들이 될 수 있고, 문제해결을 위해서 지역 간, 국가 간 경계를 넘는 협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게 되었다. 이것이 내가 지구촌의 문제에 뛰어들게 된 계기였다. 2. 사막화와 물 문제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또 전 세계 물 부족 현상은 얼마나 심각한지 그런 문제를 해결할 방안은 무엇인지 알고 싶다. 현재 지구촌이 겪고 있는 진정한 물 문제는 기존의 문제였던 물의 오염을 넘어 전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양상은 극단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우선 ‘건조화로 인해 물이 말라 사라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미 내가 여러 글에서 밝혔듯이 지구의 땅 40%는 건조화와 사막화로 인해 물이 사라지면서 농토와 초원이 사라지고 있다. 농사를 짓지 못하거나 가축이 굶어 죽어 가면서 수많은 환경난민이 발생하고 있다. 건조화와 사막화로 인해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인구는 현재 지구촌에 21억 명이나 된다. 이 극단적인 물 문제의 배경에는 기후변화가 있다. 이 지역에 나무를 심고 관리를 시작하면 땅의 생태가 회복된다. 땅이 회복되면 어떻게 될까? 호수 주변의 땅을 복원하면 내린 강수량의 35%가 땅에 스며들게 되고 이는 지표수로 남게 된다. 이 35%의 지표수는 서서히 호수로 흘러들어갈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심은 나무들이 자라고 땅이 관리되면 그 동안 사막화된 땅에서 10cm도 자라지 못한 풀들이 80cm 이상 자랄 것이다. 아울러 나무 중에서 유실수를 함께 심는다면 참여한 주민들의 주요 자립 기반이 될 것이다. 3. 비만과 인구집중, 대도시화의 닮은꼴을 환경문제와 연결해서 설명해 줄 수 있겠나? 나는 지금 인류가 겪고 있는 주요 현안인 비만, 인구집중, 대도시화가 매우 닮아 있다고 생각한다. 현재 비만은 인류를 위협하는 유행병이고, 세계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인류는 필요를 넘어선 에너지 과소비의 결과로 이미 위기에 도달했고, 그 위험수위를 돌이키기에는 이미 늦었을지 모른다. 그런데 비만이라는 상황을 보면서 닮은꼴이 떠올랐다. 이미 비대해진 대도시문제이다. 그렇지만 이 구상을 어떻게 가능하게 할 것인가의 물음에는 아직도 방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성큼 다가온 이러한 비만, 비만의 대도시의 문제에 대해 무엇을 이루어야 인류가 생존할 수 있을까? 4. 21세기 인류가 직면한 도전 중 가장 심각한 도전은 무엇이고 그것을 극복 할 수 있는 길은 어디에 있다고 보나? 인류는 현재 두 가지의 위기와 도전에 놓여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나는 금융위기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 위기, 또 하나는 기후변화라는 위기이다. 사실 이 위기의 바탕에는 윤리의 문제가 깔려 있다. 지구촌이 빠른 성장과 돈 되는 일에 투자를 하면서 우리는 금융위기와 기후위기에 노출되어 버렸다. 이로 인해 인류는 윤리의 끈을 잃고 윤리가 무시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