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포위된 2012년, 나는 사과나무를 심는다
오 기 출(푸른아시아 사무총장)
|
기후변화에 포위된 한국
2012년 중요한 환경정책이 무엇인지에 대해 2011년 12월 정연만 환경부 기획조정실장이 직접 나와 발표한 홍보 동영상을 본적이 있다. 발표 동영상 중 기후변화로 인해 북한강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강에 유독성 조류가 발생하고 확산될 것이 예상되어 이를 대비해야 한다는 내용이 있다. 강은 시민들의 상수원이기 때문에 유독성 조류로 오염될 경우 시민들의 건강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에 정부는 이를 미리 준비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나는 지구촌이 기후변화로 인해 참혹한 상황에 놓여 있다는 사실을 그동안 알리고자 노력해왔다. 비단 북극빙하만이 아니라, 지구촌 곳곳의 호수가 사라지고, 강이 말라 사라지고 식물종과 동물종이 대량으로 멸종하는 사실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을 자주 접한다.지구촌에 기후변화가 발생해서 고통을 받는 사람들이 참 안되어 보이지만, 그래도 한국은 기후변화 영향이 없어 다행이라는 태도가 그것이다. 지난 10년 이상 만나온 많은 사람들이 이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과연 한국은 기후변화의 안전지대일까? 그저 우리와 먼 남의 이야기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한국은 이미 기후변화의 한가운데에 있고 기후변화 재앙에 포위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몽골과 중국 북부지역에 기후변화로 급속하게 확장된 사막화로 발생한 대규모 황사, 2011년 3월 11일 일본을 강타한 쓰나미 그리고 이어진 원전의 방사능 누출, 태평양 바다의 수온이 올라가면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슈퍼태풍, 그리고 백두산 화산 폭발의 가능성…..현재 한반도는 서쪽 슈퍼황사, 동쪽 방사능, 남쪽 슈퍼태풍, 북쪽 화산이라는 극단적인 환경재앙의 한가운데에 있고 포위되어 있다. 2011년, 지구역사상 이산화탄소 최고치 기록
지구온난화는 일어나지도 않고 있는데 이를 과장하고 있다고 몇몇의 과학자들이 주장을 하고 있다. 태양 흑점의 변화로 현재 지구가 더워지고 있는데 인간이 사용하는 화석에너지와 산업구조, 욕망이 기후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것은 사기라고 주장하는 사람들도 있다. 그리고 2011년 하반기 남아프리카 더반에서 193개 국가의 정부대표가 참여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참여한 나라들의 이해관계 대립으로 인해 지구촌 전체가 대응해야할 어떠한 의미 있는 대책들도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오늘 나는 사과나무를 심는다. 자, 이제부터 우리는 스스로 자문해 보아야 한다. 지구 생명이 무너지고 지구의 순환 시스템이 변화를 하면 인간은 살아남을 수 있는가를 물어야 한다. 그리고 해결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한다는 말인가? 자연이 해결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양은 매년 60억 톤 정도이다. 그런데 지금 지구촌이 만들어내는 이산화탄소 양은 매년 300억 톤을 넘어 서고 있다. 다시 말해 80%를 줄어야 비로소 균형을 맞출 수가 있다. 과연 인간이 지구의 탄소 순환시스템을 무시하고 생존할 수 있을 지를 자문해 보아야 한다. 80%를 줄이는 데서 그리고 급격하게 증가하는 인구를 조절하고, 화석 연료를 주요하게 사용하는 산업을 조정해내어야 희망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