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13-[Main Story] 몽골, 그 곳에 희망을 심고 오다.
이연화 간사, (사)푸른아시아 에코투어 담당 ‘아, 몽골 다시 가고 싶다!’ 2011년 몽골에코투어는 2004년부터 꾸준히 참여하고 있는 ‘대한항공 신입사원연수(이하 대한항공)’ 팀이 5월 9일 첫 출발을 시작하여, 지난 8월 26일에 귀국한 ‘(행안부 협력사업)Green Asia Keeper’팀까지 총 22개 팀, 639명이 참가하였습니다. 특히 올해는 푸른아시아 4개 사업장(바가노르, 바양노르, 만달고비, 에르덴)에서 에코투어가 진행되었습니다. 현장간사님들과 현지주민들의 땀과 열정으로 가꾸어지는 각 조림 현장에 에코투어 참가자들의 관심과 노력이 더해져서 더욱 의미 있는 한 해였습니다.
봉사활동을 마치고 몽골의 사막체험(엘승타사르헤 또는 호스테이국립공원), 산림지역체험, 별밤체험 (테렐지국립공원) 등의 몽골의 자연을 체험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몽골 전통가옥인 게르에서의 숙박과 초원에서의 승마는 몽골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또 하나의 기회입니다. 2011년 몽골에코투어를 함께 한 팀들을 떠올리며, 간단한 에피소드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 몽골에코투어 에피소드 1. – 눈이 와도 괜찮아! 배구하면 되니까!
@ 몽골에코투어 에피소드 2. – 파티복을 준비했어야 했는데…… 올해부터 에르덴 조림장에 ‘수원 시민의 숲’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그 인연으로 5.26~6.1에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을 통해 선발된 대학생 참가자 10명이 에르덴 지역을 방문했습니다. 에코투어 일정 마지막 날 저녁에는 에르덴 전문학교 강당에서 한국과 몽골 친구들이 준비한 문화공연을 나누었습니다. 아쉬운 작별 인사를 나누려는 순간, 강당은 순식간에 댄스파티장이 되었습니다. 러시아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몽골에서는 파티가 매우 자연스러운 문화인데, 특별한 모임이 있을 때면 댄스파티가 벌어진다고 합니다. 그것을 잘 몰랐던 우리들은 쑥스러움으로 뒤로 뒤로 몸을 빼기만 했지요. 그와 달리 몽골 친구들은 낮에 보여줬던 수줍음과 달리 브레이크댄스, 왈츠 등 그 순간을 재미있게 즐기더군요. 우리도 파티가 열릴 줄 알았다면, 옷도 멋지게 입고 춤 연습도 해 갈걸 그랬습니다. @ 몽골에코투어 에피소드 3. – ‘수박씨 벌레’! 너희 어디서 오는 거니?
이 외에도 수많은 에피소드들과 사건, 사고(?)들이 있었습니다. 서로의 언어와 음식과 생활습관이 다른데서 오는 오해도 있었지요. 하지만 함께 판 구덩이 때문에, 함께 든 양동이 때문에 모든 것이 잊을 수 없는 추억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을 인정했기 때문에 우리는 서로에게 배웠고, 감동했고,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었습니다. 푸른아시아와 함께하는 몽골 에코투어는 지역과 프로그램, 그리고 참가자들의 특성에 따라 모두 다릅니다. 단 한 번도 같은 에코투어는 진행되지 않지요. 하지만 푸른아시아의 몽골 에코투어의 시작과 끝은 모두 같습니다. 바로 세계에서 시작해서 지역으로 끝난다는 것입니다. “혼자 꾸는 꿈은 꿈에 그치지만,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 오늘날의 유럽에서 아시아에 이르기까지 거대한 대제국을 호령한 징기즈칸의 어머니 허엘룬의 말입니다. 2011년 637명의 푸른 지구인들이 그곳에 지구가 푸르게 되는 작은 꿈을 심고 왔습니다. 너른 초원에 모래알 같은 작은 꿈이지만 우리는 그것이 현실이 될 거라고 믿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함께 꾸는 꿈이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