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탄소발자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가?
나는 탄소발자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가? Mike Berners-Lee가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실질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
텔레그래프; 2010년 5월 25일 게재 마이크 버너스-리 (Small World Consulting 창립자, 환경 컨설턴트) 번역: 박준희 (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
|
[옮긴이 주: 한국도 전 세계의 흐름을 잘 타는 것인지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책기조가 만들어진 이래 부쩍 환경에 대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점점 뜨거워지고 길어지는 여름과 예측할 수 없는 기상이변 등 눈에 보이는 몇 가지만 제외하고는 사람들은 환경파괴에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우리들에게 ‘탄소발자국’이라는 말은 과연 얼마나 친근할까? ‘탄소발자국’ (Carbon footprint)은 한 번 들어보면 전혀 어려운 개념이 아니다. 또한 쉽게 이해되는 이 개념을 익히고 나면 실생활에서 이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방안들을 실천하는 것에도 더 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땅에 발을 디딤으로써 생기는 자국 대신에 우리의 생활이나 하나의 상품을 생산, 소비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으로 나타나는 것이 탄소발자국이다. 이 탄소발자국이라는 말은 2006년 영국과학기술처 (POST)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무게를 나타내는 kg이나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다 흡수하기 위해서 심어야 하는 나무그루 수로 그 단위를 나타낸다. 에너지관리공단에 따르면 한국인 한 명이 일년에 3톤 가량의 탄소발자국을 가진다고 한다. 산업부문에서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크지만, 실제로 개인의 일상생활 또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더 심각하다. 놀라운 사실이지만 이것은 또한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탄소발자국을 완전히 없애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일상생활 속에서 사소한 것이라도 바꿔 나가는 것이 탄소발자국을 줄이는 데에 더 큰 성과를 볼 수 있다. 아래에서 보게 될 글에서도 필자는 흥미를 끌면서도 쉬운 방법을 몇 가지 소개하고 있다. ‘나부터 먼저’라는 의식을 가지고 이 글을 읽어보자. 그렇다면 당장 지금부터 주변에서 나의 탄소발자국을 줄일 수 있는 훌륭한 방법들을 찾게 될 것이다.] ![]() 환경 컨설턴트임에도 불구하고 나는 안타깝게도 그녀의 대부분의 질문에 답하지 못했다. 그리고 그것은 광범위한 문제의 한 부분일 뿐이라고 생각했다. 우리가 하는 거의 모든 활동들은 탄소발자국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우리는 항상 우리를 기다리는 텔레비전을 멀리해야 하거나, 비닐 봉투 불매운동을 해야 하거나, 비행기를 타지 말아야 하거나, 아니면 이 모든 것들을 멀리해야 하는 것일까? 500가지의 다른 규칙을 갖고 있는 명단을 나열하는 것이 좋은 태도는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 대부분은 하루 이상 그것들을 지키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나 좋은 의도에서 시작한 많은 행동들을 해도 지키지 못하는 것은 마찬가지 일 것이다.. 심사숙고 끝에 만들어 낸 것이 새로운 책, ‘How Bad Are Bananas?’ 이다. 위의 수치들은 정확하진 않지만 우리가 비행 패턴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해준다. 아마도 이러한 사실은 발렌타인 데이에 우리가 행하는 씀씀이에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여행 |